top of page

2022.10.01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2022 서울 아트스테이션〉을 서울 시내 버스정류장 70여 곳에서 10월 한 달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2022 서울 아트스테이션〉은 일상적으로 지나치는 버스 정류장을 ‘예술의 장’으로 변화시키려는 뜻에서 서울시가 제안하는 예술 축제이다. 서울시는 많은 시민이 일상 속에서 예술적인 순간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예술작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2022 서울 아트스테이션〉은 ‘마이 서울 모멘트’를 주제로, 140명의 작가들과 함께 버스 정류장 곳곳에 남겨진 과거와 현재, 미래의 순간들을 경험해보는 시간을 선사한다.
* ‘마이 서울 모멘트’는 국내외 유명 작가들이 참여하는 ‘주제전시’ (미팅포인트) / 신진작가를 육성하는 주요 예술기관과의 ‘협력전시’ (온 뮤지엄 모멘트) / 시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오픈전시' (서울 속 나만의 힐링 스폿, 플래시백 서울)로 구성된다.
* ‘미팅포인트 미래’는 The Institute of Queer Ecology, 김세진, 권하윤, 김을지로, 룸톤, 안가영, 박형근, 민완기, YALOO, 강재원, 입자필드, 장진승이 작가로 참여하였다. 작가들은 자연과 공존하는 미래, 앞으로 마주할 미래의 서울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의 작품은 홍대, 건대, 강서 일대의 버스 정류장에서 만날 수 있다.
* ‘미팅포인트 현재’는 디자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들이 저마다의 시선을 통해 구성한 16가지의 ‘미팅포인트’를 보여준다. 일상의 실천, 슬기와 민, 추미림, 김영나, BOWYER, 이푸로니, DDBBMM, 최태윤, 마카다미아 오!, 팡팡팡 그래픽 실험실, 황나키, 손아용, 햇빛스튜디오 , 스튜디오 플락플락, 파이카 스튜디오, 오늘의 풍경가 참여하였으며 종로, 교대, 독립문 일대의 버스 정류장에서 만날 수 있다.
* ‘온 뮤지엄 모멘트’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일민미술관, 현대자동차 아트랩이 협력 기관으로 참여하여 구성된 전시로 각각 숭례문과 홍대, 서초, 논현 일대에서 전시된다.
* ‘플래시백 서울’과 ‘서울 속 나만의 힐링스폿’은 시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졌으며 구파발, 반포, 방배 일대의 정류장에서 볼 수 있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시민들이 일상에서 다양한 예술작품을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라며 “〈2022 서울 아트스테이션〉 ‘마이 서울 모멘트’를 통해 버스 정류장에서 특별한 순간을 경험하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추가적인 정보는 서울 아트스테이션 홈페이지(https://www.seoulartstation.com)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 문의는 서울 아트스테이션 운영본부(☏02-518-2133)로 하면 된다.

참여작가

Start Now
Start Now
Start Now

참여작가

이전 게시물

다음 게시물

[보도자료] 예술과 시간이 담긴 버스정류장, 〈2022 서울 아트스테이션〉

My Seoul Moment’를 주제로 예술가와 시민이 표현한 과거‧현재‧미래의 서울 전시

10월 한 달간 강서, 홍대, 독립문, 구파발, 종로, 숭례문, 건대, 논현, 반포, 서초, 방배 일대 버스 정류장 70여 곳에서 진행

bottom of page